본문 바로가기

임상증상15

변비의 병리, 증상 및 진단 기준 정리 1. 병리  변비는 여러 방식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그 용어가 사용될 때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과민대장증후군과 관련이 없는 경우, 변비는 주당 배변 횟수가 세 번 미만이거나 대변 배출이 어려운 상태, 또는 이러한 두 가지 상황이 모두 나타나는 질환으로 정의될 수 있습니다. 변비는 배변 과정에서 과도한 힘이 필요하거나 비효율적인 배변 충동, 소량의 대변 배출, 지나치게 단단한 대변, 통증을 동반한 배변, 또는 배변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은 것 같은 느낌 등의 증상으로 묘사될 수 있습니다. 만약 배변 빈도가 한 주에 세 번보다 적거나, 배변 간격이 3일 이상 지속되면서 이러한 증상 중 일부 또는 전부가 나타난다면 이는 변비로 간주될 수 있는 것입니다. 변비는 많은 .. 2025. 2. 3.
위식도역류병의 증상과 진단 기준 1. 증상  위식도역류병은 환자의 상당수가 유의미한 증상이 없거나 증상이 있더라도 경미해서 자가 치료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증상의 정도가 심각해지거나 합병증을 동반한 경우에 의료기관을 방문하게 됩니다. 위식도역류병의 전형적인 증상은 가슴쓰림과 역류 증상이지만 이 외에도 증상은 매우 다양할 뿐만 아니라 증상의 유무나 정도가 질환의 진단이나 병의 진행 정도와 일치하지 않습니다. 위식도역류병의 증상에는 진단정확도가 높은 전형적 증상과 타 질환과 중복이 되는 비전형적 증상으로 구분됩니다. 위식도역류병의 전형적 증상은 가슴쓰림과 역류 증상입니다. 가슴쓰림은 흉골 뒤쪽 가슴이 타는 듯한 증상으로, 겸상돌기나 흉골 아래부터 상부나 목, 턱, 어깨, 팔, 또는 뒷가슴으로 전파됩니다. 눕거나 앞으로 구부릴 때 야기되.. 2025. 2. 2.
소화성궤양의 증상과 진단 기준 정리 1. 증상  소화성궤양의 임상증상은 크게 증상, 징후, 합병증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임상적으로 무증상에서부터 출혈이나 천공 등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상부 위장관 증상을 나타내는데, 가장 보편적인 증상으로는 상복부 통증을 비롯해 상복부 불쾌감, 속쓰림, 더부룩함, 식욕부진 등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십이지장궤양은 식후 1~3시간 사이 또는 공복에 상복부 통증이 발생하고 음식물을 섭취하거나 제산제를 복용하면 통증이 완화됩니다. 반면 위궤양은 음식물에 의해 통증이 유발되거나 악화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증상은 질환에 특이적이지 않아서 증상 차이만으로 소화성궤양을 진단하거나 십이지장궤양과 위궤양을 감별하기 어렵습니다. 또한, 많은 소화성궤양 환자에서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은데, 특.. 2025. 2. 2.